약탈적 학술지(Predatory Journal) 정의
연구자들에게 연구성과가 꼭 필요하다는 점을 악용하여 거짓된 정보로 연구자를 유혹, 정상적인 과학적 검증절차(Peer Review)를 거치지 않고, 논문 투고료 등
금전적 이익을 노리는 학술지를 말합니다.
약탈적 학술지와 허위 학술회의 특징 (자료 : KISTI 이슈 브리프)
약탈적 학술지 특징표
관심주제 범위가 폭넓음 (예: 생의학 분야 저널인데 비생의학 주제 포함) |
매우 낮은 논문 게재료(APC) 부과 (예: APC < $150)
|
승인되지 않은 이미지를 사용하거나 (권위있는 다른 저널인 것처럼) 이미지를 왜곡해 혼동되도록 유도
|
온라인 논문투고시스템 없이 이메일로 원고제출 요청
|
논문 철회, 교정, 오타 수정, 표절 등의 발간정책 부재
|
논문심사 등을 포함한 원고처리 과정에 대한 안내 미비
|
저널 콘텐츠의 디지털 보존 여부와 방식에 대한 정보 부재
|
웹사이트 문구의 문법이 이상하거나 철자 오류 빈발
|
웹사이트에서 ICV(Index Copernicus Value), DAI(Digital Article Identifier) 등을 사용
|
빠른 동료 심사, 초청 논문 등의 문구로 저자를 현혹
|
OA를 주장하며, 출판된 연구물의 저작권에 대한 언급이 없음
|
연락처의 이메일 주소가 더널 도메인이 아님(예 : @gmail.com, @yahoo.com)
|
결국 쉽고 빠른 출판을 내세워 APC 장사를 함
|
약탈적 저널 판단 기준
- 유형1 : 부적절한 Peer review
- 유형2 : 부정확한 저널 및 출판사 정보
- 유형3 : 가짜 인용지수 Impact Factor
- 유형4 : Hijacked Journal
- 유형5 : 대량발행 학술지
약탈적 또는 허영적 학회 특징
- 학회가 신뢰할 만한 단체 또는 협회가 아닌 영리집단에 의해 운영된다.
- 관련 없는 다양한 학문 분야가 하나의 학회로 결합되어 운영된다.
- 주최자의 이메일 계정은 무료 계정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.
- 주최자는 예비 참석자에게 스팸메일을 보내 등록을 권장한다.
- 학회 주최자에 대한 정보가 불분명하고, 잘 알려져 있지 않다.
- 주최자는 원고가 학회와 관련된 학술지에 게재될 것임을 보장한다.
- 논문 초록이 짧은 시간 내(4주 미만)에 선정될 것임을 보장한다.
- 학회가 인기 있는 휴가지에서 열린다.
- 학회명이 유명한 학회와 유사하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다.
- 학회 웹사이트가 불안정하며, 지난 학회에 대한 기록이 없다.
- 웹사이트의 본문에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철자 오류가 많다.
- 비영리학회나 협회가 운영하는 학회에 비해 등록비가 비싸다.
올바른 학회 및 학술지 선택을 위한 체크리스트
- 자신의 분야에서 존경받는 학자 또는 연구자의 이력서를 살펴보기
- 해당 분야에서 최고의 학자가 어디에 발표하는지 비공식적으로 분석한 후 게재하고 싶은 학술지 목록 작성
- 해당 분야에서 존경받는 믿을 만한 조언자나 멘토에게 조언을 구하는 것도 한 방법
- 도서관 사서와 상의
- 학술지의 영향력 지수(IF)를 조사
- 영향력 지수는 학술지의 품질에 대한 경쟁 지표
- 제3자가 해당 학술지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살펴보는 것도 중요함

- 부실학술출판에 대응하여 국내 연구자들과 함께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것을 통해 연구자들의 구중한 연구성과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,
연구자들이 투명한 연구문화 조성, 건전한 학술출판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
- 제공 콘텐츠 : 건전학술지 목록, 의심학술지 목록, 학술활동 관련 동향, 부실학술활동 의심신고, 부실학술활동 토론방